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과성 인과성의 원칙 1. 원인은 결과 앞에 나타나야 한다. 2. A와 B는 관련이 있어야 한다. 3. 그럴듯한 3의 변수를 제거해야 한다. 더보기 통계기초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추론통계 (inferential statistics) 중심극한정리 (Centeral Limit Theorem) 표본이 커질수록 정규분포를 띤다. 중심경향성 1. 평균 2. 중위수 3. 최빈값 산포도 1. 표준편차 2. 분산 3. 표준오차 4. 최대값 5. 최소값 6. 범위 분포 1. 왜도 2. 첨도 백분위수 더보기 창수 임창정의 첫 느와르연기 잘하네 "항상 남들을 위해서 살았는데, 이번에는 내가 하고 싶은대로 살아보자" 더보기 관상 사실 그대로에 김내경(송강호)가 들어가 새로운 이야기를 만든 영화,마무리는 역사적 사실대로 흘러간다. "그 사람의 관상만 보았지 시대를 보지 못했다. 파도만 보고 바람은 보지 못했다, 파도를 만드는건 바람이건만... 당신들은 파도를 높이 탄 것이고, 우리는 파도의 아래에 있었던 것. 하지만 언젠가 파도가 뒤바뀔 것이네" 더보기 과학혁명의 구조(하) 왜 하필 일까? 과학뿐만이 아니라 다른 수많은 분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과학을 썼는지에 대해서 아직 책을 다 읽지는 못했지만 잘 모르겠다. 그리고 궁금하기도 한 부분이다. 앞 부분을 읽으며 내가 과학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떠오르던 이미지들이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실의 흰 가운, 비커, 각종 화학재료 뿐만 아니라 물리, 지구과학, 생물 등 교과과목 이름 등만이 기존에 내가 과학에 대해 떠올리는 이미지였다. 이러한 이미지의 과학은 상당히 어렵고 접근하기도 싫다. 나는 고등학교 2학년 때, 과학탐구영역의 점수가 너무 나오지 않다보니 싫어하게 되었고 결국 3학년이 되어서 문과로 옮기고 사회탐구영역만을 공부하게 되었다. 과학에 관련된 책은 생각해보니 고등학교 이후 처음 접하는 시간..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8 다음